FreeBSD 11 이미지 받기
FreeBSD 이미지를 받기전에 각 용도 별로 이미지의 종류가 존재하며, 용도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해야 된다. VirtualBox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dvd가 아닌 disc1 이미지를 사용하도록 하자. FreeBSD를 USB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memstick 이미지와 dd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Desktop 환경 설치
해당 이미지를 받고 일반적으로 OS 설치하는 것 처럼 VirtualBox에 설치했다고 하자. 이후 이미지를 가상머신에서 꺼낸 후 다시 부팅하자. 물론 데스크탑 환경을 조성하지 않았으므로 CUI 환경이 반겨줄 것이다. 이전에 정한 패스워드로 root로 로그인한다.
로그인 후 이제 데스크탑 환경 조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자. xorg와 gnome3에 설치 시간이 꽤 걸린다.
# pkg update
# pkg install xorg
# pkg install gnome3
다 설치가 완료되면 데스크탑 환경과 관련된 설정을 해야된다. gnome은 /proc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etc/fstab에서 자동으로 startup mount를 설정하자.
# vi /etc/fstab
# Device Mountpoint FStype Options Dump Pass#
/dev/ada0p2 / ufs rw 1 1
/dev/ada0p3 none swap sw 0 0
proc /proc procfs rw 0 0
또한 gnome은 D-Bus와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을 사용한다. gnome을 설치할 때 같이 설치되었으므로 이 역시 /etc/rc.conf에 해당 옵션을 부가해서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한다. 그놈 디스플레이 매니저(GDM)와 그놈(GNOME)을 시작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한다.
# vi /etc/rc.conf
dbus_enable="YES"
hald_enable="YES"
gdm_enable="YES"
gnome_enable="YES"
VirtualBox guest addition 설치
sudo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sudo를 설치하자.
# pkg install sudo
VirtualBox guest addition을 설치하고 다음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etc/rc.conf에 다음 설정을 입력한다.
# pkg install virtualbox-ose-additions
# vi /etc/rc.conf
vboxguest_enable="YES"
vboxservice_enable="YES"
마지막으로 reboot을 하면 다음과 같이 데스크탑 환경이 작동한다.
출처
- https://www.freebsd.org/doc/handbook/x11-wm.html
- https://www.freebsdfoundation.org/freebsd/how-to-guides/installing-freebsd-with-virtualbox/
- https://www.ostechnix.com/install-gnome-desktop-environment-in-freebsd-10-2/